1. 유래와 역사 맹크스는 꼬리가 짧은 고양이로 유명합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많이 사랑을 받고 있는 고양이 품종으로 맹크스를 모델로 한 인형과 소품 등이 판매되기도 하고 스페인의 경우, 맹크스로 주화를 만들기까지 했습니다. 맹크스의 기원은 정확히 알려진 것은 없으나 그중 유명한 것은 성경 구절에 등장하는 맹크스의 관련 전설입니다. 성경 구절 중 노아의 방주에 등장하는 고양이가 바로 맹크스이며, 노아의 방주가 문이 닫히기 전 급하게 탄 맹크스는 문에 꼬리가 끼어 버리면서 꼬리가 잘라지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현재의 꼬리 모습을 하고 말았다는 전설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확히 언제 발생됐는지는 추측이 안 되는 자연 발생종으로 영국 북아일랜드 출신 일거라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사냥 본능이 강하고 사냥 능력도 뛰..
1. 유래와 역사 버미즈 고양이는 시암 고양이와 매우 흡사한 외모를 가진 고양이로, 최초 발생은 시암 고양이와 미얀마의 로컬 고양이의 교배로 인해 새롭게 만들어진 품종입니다. 더운 미얀마 출신 고양이이며, 미얀마의 승려들이 당시 사찰에 두면서 신성 시 하던 품종묘입니다. 태국어의 이름의 뜻은 행운을 가져다주는 고양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버미즈는 단묘종 고양이로 체구는 작지만, 근육질의 몸매를 가지고 있어 단단하면서도 날씬한 몸매를 가지고 있는 품종이며, 털, 눈 컬러, 체중 등 외형적 특징에 따라 아메리칸 버미즈, 유러피안 버미즈 2개의 품종으로 나누어집니다. 일반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진 버미즈는 아메리칸 버미즈라고 합니다. 2. 외형적특징 버미즈는 체격이 작고 매우 동그랗다는 점입니다. 웅..
1. 유래와 역사 메인쿤은 미국 동부의 메인주에서 자연 발생된 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메인쿤이 메인 주에 어떻게 발생됐는지에 대한 추측은 여러 가지입니다. 프랑스혁명 전 신변의 위험을 느낀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가 프랑스를 떠나기 전 배에 태워서 물건들과 반려동물을 도주할 미국으로 먼저 보냈는데, 그때 포함되어있던 반려동물이 메인쿤의 시초가 되는 고양이였고 그 고양이가 미국으로 건너가서 메인주에 자리 잡아 메인쿤의 품종이 만들어졌다는 설과, 다른 설은 미국에 사는 쿤 선장이 배에서 기르던 고양이가 메인쿤의 기원이다라는 설, 또 다른 설은 메인쿤의 너구리를 닮은 외형적 특징으로 조상이 너구리다 라는 설도 있습니다. 아직 확실하게 확인된 기원은 없고 모두 추측이지만, 메인쿤은 이처럼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많..
1. 유래와 역사 랙돌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봉제인형을 가리키는 말이 맞습니다. 랙돌 고양이를 안으면 힘없이 축 쳐지면서 사람에게 몸을 맡기는 특성을 빗대어 지은 이름이라고 합니다. 랙돌 고양이는 전문 육종가의 의해 만들어진 품종이며, 이 품종을 최초로 만든 육종 전문가가 독점권을 위해 따로 협회를 두고 품종에 대한 제한을 엄격하게 두는 등 렉돌 생산에 대한 많은 제약을 두자, 다른 육종가 들은 이런 사항들을 거부하며 품종에 대한 독점권을 반대하였고 새롭게 품종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이 품종이 바로 라가 머핀이며, 렉돌과 라가 머핀은 외모의 미세한 차이 외엔, 성격이나 외형은 거의 유사한 품종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렉돌의 인기가 높아서 렉돌을 많이 분양받는 추세이며, 라가 머핀을 분양..
1. 유래와 역사 먼치킨 고양이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습니다. 80년대 미국의 길고양이의 의해 새로운 품종으로 발견되었습니다. 보통 고양이와 달리 긴 허리 다소 짧은 다리 통통한 체형으로 고양이지만 고양이 답지 않은 귀여움을 자랑하는 품종입니다. 짧은 다리 때문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품종으로 많이 오해를 받지만, 먼치킨은 자연발생 품종입니다. 짧은 다리를 제외하고는 성격적인 부분과 신체적인 부분에 치명적인 질환이 없고, 건강하고 활달하여 사람과도 잘 어울리는 품종입니다. 짧은 다리의 강아지인 닥스훈트나 웰시코기가 종종 유전적 척추질환에 걸리는 사례가 있으나, 먼치킨은 짧은 다리의 고양이지만 발견된 척추질환이 없으며 다소 건강한 편이라 고양이 품종으로 일부 협회에는 인정받았으나, 아직 유전적인 결함의 대한..
1. 유래와 역사 시암 고양이 혹은 집에서 키우는 집고양이와 아프리카 멸종위기종인 서벌 캣과의 교배를 통해서 만들어진 품종이 사바나 캣입니다. 처음은 1980년대에 미국에서 야생 서벌 캣과 집에서 기르던 집고양이와의 교배로부터 품종이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그 이후로 연구를 통해서 집에서 기를 수 있을 정도로 야생성이 없어지고 크기가 작아진 현재의 사바나캣 품종이 만들어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사바나캣의 조상님이 F1이며, 현재 분양이 가능한 품종은 F8세대라고 합니다. 현재의 F8세대는 시암 고양이와의 교배종으로 외형적 모습은 서벌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성격은 시암 고양이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매우 영리하고 주인과의 유대관계가 매우 끈끈한 품종입니다. 2. 외형적특징 치타와 서벌 캣의 생김새와 매우 비..
1. 유래와 역사 페르시안 고양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장모 묘의 대표적인 품종입니다. 맨 처음 전해진 것은 18세기 무렵 미국과 유럽으로 전해 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이전 페르시안 상인들의 무역 품목에 장묘종 고양이가 등장하는데 이것이 페르시안 고양이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따라서 고양이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품종 이기도 합니다. 흔하게 긴 털을 가진 고양이를 생각하면 페르시안 고양이를 생각할 정도로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진 고양이 품종이며 아직도 그만큼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품종묘이기도 합니다. 2. 외형적특징 페르시안 고양이는 얼굴 생김새가 다른 종류들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들창코에 눌린 얼굴 시추를 연상시키는 외모는 페르시안 엔조틱, 이와 다르게 일반적인 얼굴을 하고..
1. 유래와 역사 현재 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고양이이며, 공식적으로 등록된 품종은 아닙니다. 밖에서 흔하게 보이는 길고양이 혹은 국내의 반려묘로 많이 있는 품종이며, 코리안 숏헤어랑 이름은 공식 등록된 외래 품종묘들처럼 한국에 있는 토종 고양이라는 뜻에서 사람들이 붙여줘서 불리게 된 별명입니다. 처음은 쥐를 잡기 위한 용도로 고양이를 국내에 들여오게 된 게 시초이며, 왕실에서도 고양이가 길러진 증거를 찾아볼 수 있으며, 당시 시대의 화가들이 그린 그림에도 토종 고양이들이 등장할 정도로 한국에서 자리 잡은 지는 꽤 오래전이라고 추측됩니다. 따로 관리하거나 품종을 개량하거나 했던 적이 없이 길에서 스스로 자리를 잡은 국내의 고양이들은 아쉽게도 품종에도 등록되지 못하고 국내에서도 다른 외래 품종에 비해 사랑받..